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미래 – 휘어지고, 말리고, 접히는 세상의 시작

by Indenter 2025. 4. 17.

영화속 디스플레이. 출처. 네이버영화

한때 공상과학 영화에서나 가능했던 '접히는 화면', '말리는 TV'가 이제는 현실이 되고 있습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는 단순히 ‘화면이 휘어진다’는 개념을 넘어, 전자기기의 구조 자체를 바꾸는 핵심 기술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현재와 미래, 그리고 관련 기술 트렌드를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휘거나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기술로,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기반이 대부분입니다.
유리 대신 **플라스틱 기판(PI, PEN 등)**을 사용하고, 전극·봉지막 등 모든 층을 얇고 유연하게 설계해야 하죠.

플렉서블디스플레이 출처. LG디스플레이

구분설명
Bendable 고정된 곡률로 구부러짐 (예: 엣지폰)
Foldable 접을 수 있음 (예: 갤럭시 폴드)
Rollable 말 수 있음 (예: LG 롤러블 TV)
Stretchable 신축성 있음, 아직 연구 단계

기술적 도전 과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단순한 ‘디자인 기술’이 아닙니다.
얇고 휘어지는 구조 속에서 성능과 내구성을 유지해야 하는, 매우 복합적인 기술이죠.

롤러블디스플레이. 출처.LG디스플레이

분야과제
기판 열안정성과 유연성 동시에 확보 (PI, CPI 등)
전극/배선 구부려도 끊어지지 않는 투명 전극 (Graphene, Ag-nanowire 등)
봉지막 수분/산소 차단하면서도 유연한 코팅 필요 (무기+유기 하이브리드)
터치 센서 압력·위치 정확도 유지 필요
스크래치/마모 방지 내구성 확보 위한 초박막 하드코팅 개발 필요

시장 전망

  • 시장 성장: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시장은 2024년 약 230억 달러에서 2028년까지 470억 달러 이상으로 성장 예상
  • 제품군 확장: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은 물론, 자동차 내부 디스플레이, 스마트워치, 의류형 웨어러블까지 확대 중
  • 선도 기업:
    삼성디스플레이, LG디스플레이, BOE, Visionox 등 중국·한국 중심으로 기술 경쟁

플렉서블디스플레이 출처. LG디스플레이


관련 소재 및 코팅 기술 트렌드

기술 분야설명
하드코팅(UTG) 초박막 유리 위 하드코팅으로 내스크래치성 강화
봉지막(ALD+하이브리드) 수분 차단, 투명성, 유연성을 동시에 만족
전도성 고분자 PEDOT, Graphene, CNT 등 유연한 전극 재료
나노인덴터 평가법 접힘 강도, 복원력, 균열 발생 여부 정밀 분석

미래는 어디로 갈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앞으로 ‘디바이스의 형태 자유도’를 완전히 바꿀 기술입니다.
지금은 접히는 스마트폰에 머물러 있지만, 앞으로는 말리는 노트북, 팔에 두르는 화면, 의류형 디스플레이 등으로 생활 전반에 확산될 것입니다.

기술적으로는 더 얇고, 더 튼튼하고, 더 선명해지는 방향으로 진화하며, 소재·코팅·센서·회로의 융합 기술이 열쇠가 될 것입니다.


다음 번엔 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개발을 위해 나노인덴터를 어떻게 사용하는지에 대해 업데이트 해 볼께요

 

 

나노인덴터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연락처로 연락주시길 바라며

무료 데모테스트 등 가격적으로도 기술적으로도 경쟁력있는 대응을 꼭 약속드립니다.

부담없이 연락주시길 바래요.

감사합니다.

​E-mail: bioh.kim@helmutfischer.com​ , Tel :02-415-2381

 

나노인덴테이션은 목표나 샘플 종류에 따른

조건을 정확하게 잡는 것이 가장 중요하고,

측정된 결과를 어떻게 해석하는지가 중요합니다.

이 부분에 있어서 타사와의 비교는 정중하게 거부합니다.

문의 주십시오. 확실하게 대응 드리겠습니다.

가격적인 부분도 언제든지 문의 주세요~

출처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