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배터리 산업에서의 나노인덴테이션 활용 - 1 -

by Indenter 2025. 4. 7.

 

터리 산업에서는 전극 및 전해질 소재의 기계적 특성이 배터리 성능과 수명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특히, 나노인덴테이션(nanoindentation) 기법은 배터리 소재의 미세한 영역에서 경도(Hardness)와 탄성계수(Elastic Modulus)를 측정할 수 있어, 소재 개발과 품질 관리를 위한 중요한 도구로 활용됩니다.


1. 배터리 소재에서 나노인덴테이션이 필요한 이유

 


  • 극판(전극) 및 바인더의 내구성 평가

리튬이온 배터리(LIB)의 전극은 활물질(active material), 바인더(binder), 도전재(conductive additive)로 구성됩니다.

- 충·방전 시 전극이 반복적으로 팽창·수축하면서 기계적 변형이 발생하기 때문에, 소재의 기계적 특성을 평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나노인덴테이션을 통해 활물질 입자, 바인더, 도전재 각각의 기계적 특성을 측정하여 최적의 조합을 찾을 수 있습니다.

 

  • 계면(Interface) 분석

배터리 소재는 다층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계면에서의 접착력과 기계적 안정성이 매우 중요합니다.

- 나노인덴테이션(Nanoindentation) 테스트를 활용하면 전극과 바인더 간의 접착력 및 밀착도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 고체 전해질 및 SEI(Solid Electrolyte Interphase) 층 평가

- 전고체 배터리(All-Solid-State Battery, ASSB)에서는 고체 전해질의 기계적 강도가 높은 것이 중요합니다.

- 나노인덴테이션을 이용해 전해질의 경도, 탄성계수, 크리프(Creep) 특성을 평가하면, 내구성이 높은 전해질 소재를 개발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 또한, 충·방전 과정에서 형성되는 SEI 층의 기계적 특성을 분석하여, 안정적인 SEI 층을 형성하는 전해질 및 첨가제를 연구할 수 있습니다.


2. 배터리 주요 소재별 나노인덴테이션 적용 사례


 
배터리 부품
분석 목적
측정 가능한 기계적 특성
양극(Positive Electrode)
활물질과 바인더 간의 접착력, 압축 응력 평가
경도, 탄성계수, 계면 접착력
음극(Negative Electrode)
흑연, 실리콘 등 음극 소재의 변형 거동 분석
경도, 크리프, 탄성계수
고체 전해질(Solid Electrolyte)
기계적 안정성 및 충방전 시 균열 저항성 평가
경도, 크리프, 균열 저항성
SEI 층(Solid Electrolyte Interphase)
SEI 층의 기계적 강도 및 내구성 분석
박막 경도, 탄성계수
계면(Interface, Coating Layer)
코팅층과 전극 간 접착력 평가
접착력

 

 


3. 나노인덴테이션을 활용한 배터리 연구 및 개발 사례


  • 실리콘 음극의 기계적 거동 분석

- 실리콘(Si) 기반 음극은 충·방전 시 부피 팽창이 크기 때문에, 기계적 강도가 중요한 요소입니다.

- 나노인덴테이션을 통해 실리콘 입자의 경도 및 탄성계수를 측정하여, 변형 거동을 분석할 수 있습니다.

- 이를 통해 실리콘 바인더 및 전극 설계를 최적화하는 연구에 활용됩니다.

 

  • 고체 전해질의 크리프 및 점탄성 특성 분석

- 전고체 배터리의 고체 전해질(예: LiPON, LLZO 등)은 높은 기계적 안정성이 필요합니다.

- 나노인덴테이션을 이용하면 고체 전해질의 크리프(Creep) 거동을 분석하여, 장기 안정성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 특히, 고온에서의 기계적 특성 변화를 연구하는 데 유용합니다.

 

  • 코팅층 및 보호막의 내구성 평가

- 배터리 전극 표면에 적용되는 코팅층(예: Al2O3, TiO2)이 얼마나 기계적으로 안정한지 평가할 수 있습니다.

- 접착력을 유추할 수 있는 레시피로 코팅층의 접착력과 내마모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습니다.


4. 배터리 소재 분석을 위한 나노인덴터 선택 기준


배터리 소재의 나노인덴테이션 분석에서는 다음과 같은 사항이 중요합니다.

 

  • 소재나 형태에 따른 측정 경험

- 음극,양극재 등의 박막 필름 형태부터 흑연 파우더 샘플까지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경험을 가지고 . 적절한 솔루션을 가지고 있는 메이커의 제품을 선택해야 합니다.

 

  • 저하중 측정 가능 여부

- SEI 층, 고체 전해질, 나노 입자 등의 박막 소재를 측정하려면 μN~mN 단위의 정밀한 하중 조절 기능이 필요합니다.

- Helmut Fischer의 HM2000, HM500 시리즈는 낮은 하중에서도 높은 해상도로 측정할 수 있어 배터리 소재 연구에 적합합니다.

 

  • 온도 변화에 대한 안정성

- 배터리 소재는 온도 변화에 따라 물성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온도 드리프트 보정 기능이 중요합니다.


결론

나노인덴테이션은 배터리 산업에서 전극, 전해질, 계면 특성을 정밀하게 분석하는 데 매우 유용한 기법입니다. 배터리 수명과 안정성을 개선하기 위해, 나노스케일에서의 기계적 물성 분석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 최적의 배터리 소재를 개발할 수 있습니다.

 

나노인덴터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연락처로 연락주시면 정성껏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이외의 추가적인 문의 무료 데모테스트 등 가격적으로도 기술적으로도 경쟁력있는 대응을 꼭 약속드립니다.

부담없이 연락주시길 바래요.

감사합니다.

​E-mail: bioh.kim@helmutfischer.com​ , Tel :02-415-2381

 

나노인덴테이션은 목표나 샘플 종류에 따른

조건을 정확하게 잡는 것이 가장 중요하고,

측정된 결과를 어떻게 해석하는지가 중요합니다.

이 부분에 있어서 타사와의 비교는 정중하게 거부합니다.

문의 주십시오. 확실하게 대응 드리겠습니다.

가격적인 부분도 언제든지 문의 주세요~